교감-마주보다 | |
교감-(마주보다) 조각은 공간 예술이라는 말이 떠 오른다 2002년 개인전에 거대한 원통형 철 파이프로 공간을 하나의 선(틈)으로 내부와 외부의 공간 이동이라는 작품을 개인전에 발표 한 적 있다. 이번 춘천 심포지움의 작업도 공간을 비워내고 작품내부의 공간에 관람자가 들어와 마주보는 얼굴 사이에서 실제적인 교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화강암 원석 높이2200mm에서 포천에 석산에서 주문 채굴해서 가져와 내부의 원형공간을 만들기 위해 와이어 커팅 작업으로 원통형을 비워내고 그것을 또 다시 비워내어 세 개의 덩어리가 보여졌다. 다시 말해 하나의 원석에서 두 개의 원통 덩어리가 태어나고 태어난 것이다. 조금 벗어난 애기일수도 있지만 종교 에서는 자기 자신을 버리거나 비워짐의 결과로 다른 하나가 생기는 것은 하나의 이치라 애기한다. 이번 심포지움 작업도 하나의 거대한 원석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 은 내면의 존재하는 서로 다른 얼굴이다 얼굴 시리즈 작업의 대부분은 마음속에 존재하는 얼굴이다 선택의 기로에서 각자 다른 부분을 바라보는 얼굴 일 수도 있다. . 또 다른 빠져나온 원통형의 돌의 이미지는 더 단순해진 얼굴이미지로 보여진다. 마지막의 나온 원기둥 돌의 얼굴이미지는 서로 다른 측면의 남 여 모습으로 음과 양의 조화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번 심포지움의 테마 또한 회복과 치유의 기념비인 만큼 본인 작품도 내부와 외부, 안과 밖, 세 개의 돌은 하나의 돌 인 것처럼 서로 연관적이고 상대적이지만 하나인 것이다 그것들이 작품에서 나타내고자하였다. 보여 지는 두 얼굴은 실제 하는 얼굴이기보다는 내면의 서로 다른 얼굴이고 나아가 마주보고 소통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제작하고 이후 공원에 설치한 “교감“작품은 지나가는 일반인들이 얼굴안의 내부의 공간에 들어와 사진을 찍는 포토 존으로 참여한다. 이번 작업은 먼저 나 자신과 교감으로 시작하여 나아가 춘천에서 오고가는 사람들이 작품내부에 들어와 교감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보다 많은 관람자가 작품을 그저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작품 얼굴 안으로 들어와 자기 자신의 내면의 얼굴이 무엇인지 느끼고... 작고 소박한 명상이나 기도로 지친 마음의 위로가 되기를 희망한다. |
|
상상력과 꿈꾸기의 DNA를 가진 작가-이재언 | |
상상력과 꿈꾸기의 DNA를 가진 작가 이후 작가의 작품은 ‘집’ 시리즈를 선보였다. 조그맣고 아담한 집에서 뿜어낸 연기가 바람에 휩쓸려 옆으로 날리고 있는(땅에 닿는) 모습의 작품들이다. 기이하고 심각한 작품만 선보였던 작가가 서정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선보인 것이 어딘지 생뚱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반전과도 같은 이중적 코드가 내장되어 있다. 구름 같은 연기의 끄트머리에 귀의 형상이 숨어(변형되어) 있는 것이다. 꿈을 꾸는 귀, 어디선가 흘러온 선율을 듣는 귀, 진실을 듣는 귀이다. 이제 무한한 상상의 바다 위에서 그것의 기호적, 상징적 해석은 독자의 몫이다. |
ARTIST Cri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