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Criticism
유쾌한 아름다움-친석필
유쾌한 아름다움(평론글)

천석필(이랜드문화재단 학예실장) 

화려하면서 우아한 색감의 한복 천은 화면을 가득 채운다. 우리의 고전 정취가 보이기도 하고 우리들 어머니의 호흡이 들릴 것 같기도 하다. 한지 위에 펼쳐지는 세계 자체가 한국적인 소재이기에 더욱 친근함을 주고 있다. 작품의 정서상 아무래도 한복이 연상 되지만, 한복뿐 아니라 이불, 보자기 등에서 느낄 수 있는 전통미를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 굵은 실로 옷감조각을 자유로이 꿰맨 흔적은 작가의 정성을 엿볼 수 있다. 작품은 자연이 가진 순수한 아름다움에 휴머니즘이 섞인 포근함을 전달한다. 형상미 보다 정서미가 어울리는 작품 세계다. 이것은 김애경이 갖는 미에 대한 소신이자 행위의 소산이다.

김애경은 한동안 한복 입은 여인들을 채색화로 그리는 작업을 해왔다. 한복을 입은 전신상은 한복의 우아한 선과 색감으로 작가의 미적 상태를 표현했다. 이는 예쁘고 아름다운 것에 대한 동경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어린 시절, 작가의 집인 종가로 곱게 단장하고 찾아오는 친척들의 한복은 제일 예쁜 모습으로 다가왔다. 초기부터 한복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작품활동을 하면서 전통의 미는 언제나 중요한 소재로 자리매김했다. 최근에는 한복이나 인형, 전등 갓 등의 형태로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전통 문양의 꽃이나 곤충, 보자기의 추상적 이미지도 작품에 활용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을 구사하고 있다. 이제는 평면 작품의 한계를 넘어 그 이상의 것으로 전개되는 미에 대한 확장의 개념으로 볼 수 있겠다. 

작품에 등장하는 반원형 형태의 근원은 골무이다. 작으면서 독특한 형상과 그 안에 어우러지는 조화로운 상태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작가는 작업실 바닥에서 햇살을 받아 반짝이는 조그만 골무를 접한 후 그 아름다움에 매료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골무는 미관상 다른 나라와 차별성을 갖고 있다. 골무란 바느질 할 때 손가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대부분 기능적인 것에 충실한 상태로만 사용된다. 우리는 손바느질로 색색의 조각을 이어 붙여 아름다움까지 곁들인 소품으로 만들어 사용했다. 작가가 관조한 골무의 형태는 작품에 여러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자체를 키워 낸 경우도 있고 형상을 따라 작품을 구성한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 형태를 빌어 만든 전등 갓이 가장 구체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사람들의 관심에서 소외되기 쉬운 골무에서 색다른 멋을 찾아 작품으로 승화시켜 이전에 알지 못한 골무의 아름다운 자태를 새삼 보여주고 있다. 

김애경의 평면 작품은 물세탁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전의 작업실이 광안리에 있었는데 침수로 거의 모든 작품이 훼손당하는 일을 겪었다. 한지에 채색으로만 그려진 그림은 침수에서 온전할 수 없었다. 수해의 경험 이후에는 유사한 상황에서도 작품이 손상되지 않을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아예 세탁의 과정을 거쳐서 작업을 하게 되었고 현재의 방식을 획득하게 되었다. 기본 틀을 합판에서 떼어내 세탁하고 다시 작업을 반복한 작품은 천이 아닌 가죽같이 느껴진다. 겹겹의 한지와 염색, 바느질의 과정으로 견고한 바탕을 만들어내면서 그는 오히려 예술적인 상상력의 발전을 이루어냈다. 

김애경의 예술은 스스로 즐겁고 유쾌하기 위한 것이다. 색색의 비단 조각을 수집하고 바느질하며, 염색하고 모양을 꾸며내는 과정이 유쾌한 행위의 단면들이다. 자신 외부의 그 무엇보다 작가 자신이 스스로 찾아가는 행복의 모습인 것이다. 작가에게 무엇을 추구하는지, 무엇 때문에 작품을 하는지 물었을 때 작가의 대답은 단순 명료했다. 그것은 “즐거운 마음으로 아름다운 것을 만들어가면서 유쾌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각적 아름다움은 사람들을 즐겁게 해 줄 수 있다. 김애경이 작품으로 보여주는 것 역시 작가의 생각대로 아름다움과 유쾌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