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NEWS
2018-01-13 Korean [퓨처에코] 남당 박지현, 수묵 아름다움의 절정을 추상에 담다
 
퓨쳐에코
eco-book/기타
남당 박지현, 수묵 아름다움의 절정을 추상에 담다
박희정 기자  |  doban03@hanmail.net

[86호]
승인 2016.10.26  


이상하다. 분명 한지에 먹을 입힌 수묵화인데 산수나 사군자는 없고 형태를 알기 힘든 번짐과 거친 필치만이 존재한다. 이를 두고 동양의 수묵에 서양의 추상을 도입한 수묵추상이라 한다. 70년대 유행했다는 이 독특한 화풍을 최근 한 청년 작가가 선보이고 있어 화단에 신선한 기대를 안겨주고 있다. 바로 남당 박지현. 그녀는 한 때의 유행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색깔에 현대성을 가미해 수묵이 갖는 아름다움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즉흥적 먹의 생동으로 표현된 기억의 조각들

그림은 필연적으로 작가가 살아온 삶과 기억들이 묻어나게 된다. 추상 역시 작가의 세계가 함축되어 있기 마련이다. 남당 박지현은 지금껏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수많은 감정들을 회상하며 화폭에 담았다고 한다.
한지 위로 번지는 먹의 흐름은 흐릿한 기억들을 표현하면서도 수묵의 매력을 오롯이 담고 있다. 그 위 붙이고 찢겨진 채 지난 시간을 담고 있는 한지들은 기억의 조각들을 더욱 극명히 드러내며 찢겨진 형태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으로 화폭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추상은 하나의 조형놀이라고 생각해요. 화면 안에서 의도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가지고 노는 거라고 할까요.” 동양의 먹과 서양의 재료인 젯소(gesso)가 만들어내는 섞임과 어울림, 그리고 한지로 표현되어지는 조형미는 거친 먹선에 의해 하나가 된다.
전통적 수묵의 틀에 갇혀 있지 않은 이러한 독특한 기법이 만들어내는 즉흥적 아름다움은 나혜석 미술대전에서 우수상(한국화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화단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원로작가 분들께서 많이 격려해주세요. 70년대에 비슷한 작품들이 유행했었나 봐요. 저는 전혀 몰랐는데 저만의 색깔로 재현해냈다는 생각들을 하시는 것 같아요.”


수묵 화폭에 담아낸 한국의 정서

작가에게 한국화가 갖는 매력에 대해 묻자, 그녀는 “한국 사람으로 태어난 걸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문을 연 뒤, “한국인이기에 가질 수 있는 정서와 한국인만이 표출할 수 있는 독특한 재료를 쓸 수 있다는 것, 한국인이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모든 것을 그림에 담을 수 있다”고 답했다.


한국적 정서를 담을 수 있는 많은 수묵의 소재들은 그녀의 관심 분야다. 그녀의 이전 작품의 주 소재였던 소나무는 웅혼한 기상과 품격, 빛을 향하는 곧은 정신과 지조를 표현해내기에 제격이었다. 수묵을 표현하는 먹과 한지는 특히나 외국인들에게 색다른 아름다움을 주곤 하는데, 그래서 자신의 그림을 보는 외국인들의 반응이 대부분 ‘amazing’ 아니면 ‘beautiful’이라고 작가는 전한다.
그녀는 소나무 작업에서 전통과 현대의 소통이 필요함을 시사하기도 했다. 스쿠터나 수입 자동차를 마치 장난감처럼 조그맣게 삽입해 변함없는 소나무와 현대의 물질문명을 대비시킨 것이다.
“저의 의도가 맞아떨어졌던 것이 원래 소나무 그림은 주로 중년 분들이 좋아해주시는데, 스쿠터와 자동차를 넣었더니 어린아이서부터 세대를 불문하고 좋아해주셨어요. 소통이 된 것이죠. 이것 하나만으로도 만족스러웠어요.”



소통하는 작가가 되고 싶다

박지현 작가의 호인 남당은 따뜻한 남쪽에 집을 세워 화단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라는 의미로 스승이 지어준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작가가 되는 것이 목표이자 꿈이라고 했다.
“그림 작가라고 하면 어렵게들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추상작품의 경우는 더욱 난해해하셔서 이해를 돕고 싶은데 관람객들 대부분이 그림만 보고 가세요. 예술 하는 사람들은 뭔가 다른 사람으로 느끼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그래서 소통하고 싶어요.”
작가는 다음 작품 역시 추상작업이 될 것이라고 한다. 다만 색감을 좀 넣어 변형을 줄 생각이라고. 구상작업으로는 매화를 생각해두고 있다고 하니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남당 박지현만이 만들어낼 수묵의 아름다움을 또 한 번 기대해도 좋겠다.


2018-01-13 Korean [ART KOREA] 한국화의 신선한 바람, 박지현 작가

한국화의 신선한 바람, 박지현 작가


  박지현 작가의 작품은 한국 수묵화의 절제된 미와 소박한 미를 지녔다.
그녀의 2014년 작품에서는 소나무의 정기와 기상 등을 화면에 거침없이 나타냈다.
주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소나무, 험한 산새에서 볼 수 있는 기이학적인 소나무등을 스케치 및 수집을 통해 소나무가 탄생되었다. 그래서인지, 그가 그린 그림의 소재는 분명하고 명확하다. 그녀의 작품에서 보이는 여백의 미는 단순한 여백의 미가 아닌, 전통을 좀 더 현대화시키는 여백의 미라고 볼 수 있다. 그녀는 2015년 작품에서 소통이 필요했다고 말한다. 그래서 2015년 작품에서는 ‘소통‘이라는 주제로 사회에서 젊은 층이 추구하는 물질주의(자동차,스쿠터) 등을 소나무와 대비적으로 아주 작게 표현하며, 시사적으로 나타내었다. 작가는 사회에서 위축된 젊은이들을 응원하다는 메시지 또한 담고 있다.


가장 한국적이면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그녀는 그 누구보다 한국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 싶다고 한다.
그녀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원초적인 질문을 반복하며 작품에 임한다고 한다.
그녀의 작품은 누구보다 정체성을 고민하며 반복에 반복을 거둔 결과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녀는 진솔하다.
그녀는 소나무뿐만 아니라, 수묵화의 소재가 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그린다.
수묵화를 그린다는 것은 그녀가 한국의 ‘먹’을 사용하여 그리는 것을 사랑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때로는 구상이 아닌 비구상을 그리기도 한다. 비구상은 그녀가 하고 싶은 한 분야이기도 하다. 비구상을 그리는 것은 구상에서 탈피하여,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녀는 고리타분함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영역을 넘나들며 작업을 하곤 한다.
 
그녀는 자신의 그림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이 치유 받고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앞으로 사람들에게 어떠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줄지 기대된다.



Professor  Lee sueng choon

2018-01-13 Korean [모생 갤러리] 박지현 개인전
 화단의 신선한 충격과 주목을 받고 있는 여류한국화가 남당 박지현 작가의 개인전이 서울시 마포구 모생한의원3층(모생갤러리)에서‘소통’이라는 주제로 3월15일(화)~ 4월4일(월)까지 열린다.
작가는 2014년 作에서 소나무(작가 자신을 나타냄) 위주로 작업을 하였고, 2015년 作에서는 고고하고 변함없는 소나무와 현대문명이 낳은 산물인 자동차와 스쿠터를 표현, 전통과 현대의 소통이 필요함을 시사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박지현 작가는 전통산수를 현대화에 맞게 여백의 미를 살려 담백한 필치로 독특한 화풍의 시도를 과감히 선보이고 있다.
2015년 나혜석미술대전에서 한국화부문 우수상(부문대상),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입상, 안견미술대전에서 입상, 그 외 多수 입상 하였다. 또한 안견청년작가 23인에 선정, 2016년 브라질 리우올림픽 작가5인에 선정되기도 한, 미래가 촉망되는 작가이다. 2016년 5월에는 비구상으로 15점을 신촌 우리갤러리에서 발표한다고 한다.

소나무를 그리는 것은 삶을 그리는 것이다. 척박한 땅에 깊게 뿌리내린 소나무가 예술과 삶을 소리 없이
말하고 있다. 사시사철 푸르른 생명력을 닮고 싶다. 웅혼한 기상과 품격, 빛을 향하는 곧은 정신과 지조를 그리고 싶다.그림이 힘들고 삶이 피곤할 때마다 용의 비늘을 달고 힘차게 비상하는 소나무를 뜨겁게 꿈꾸곤 했다. 형상보다 정신을, 기운생동의 생명력을, 고아한 기품과 따뜻함을 진정으로 담아낸 그림을 그리고 싶었다. 내가 힘들 때 위로해주고 쓸쓸할 때 친구가 되어 주었던 소나무처럼 내 그림 또한 많은 이들에게 치유와 빛이 되어 전해지기를 간절히 소망하면서 오늘도 나는 용이 된 소나무가 되어 힘차게
비상하는 꿈을 꾼다.

- 박지현 작가노트 中 -


모생한의원 이해민 원장은“치료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과 눈을 통해 문화예술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길 원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