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통역사’ 박진이가 전하는 생명론_이재언(미술평론가) | |
‘식물통역사’ 박진이가 전하는 생명론 - 이재언 (미술평론가) 보이지 않는 적들과의 지루한 싸움에 몸도 마음도 지쳐만 간다. 전대미문의 재난이 의외로 장기화되고 있어 코로나블루도 생겼다. 언제쯤 온전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는 지금에야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절실히 깨닫게 된다. 또한 평범함과 소박함이 우리에게 얼마나 값진 것이었는지를 이제야 깨닫고 있다. 오늘의 암울한 상황에서는 거대한 서사보다 작은 서사가 요구된다. 우리에게 위로가 되는 것은 장대한 스펙터클이나 지구를 위험에서 구하는 슈퍼맨 같은 영웅담이 아닐 것이다. 진부하고 보잘것없어 보여도 한 송이 들꽃이나 들풀 따위가 전하는 생명의 울림 같은 것이 아닐까. 오늘의 동시대인들이 처한 정신적, 정서적 상황이 이리되고 보니, 한국화가 박진이의 작업이 갖는 의미가 새삼 돋보인다. 작가는 소박하고 진부해 보이는 평범한 일상, 혹은 일상에서 만나는 것들이 주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재발견에 비중을 둔다. 그동안 작가가 설정한 주제가 ‘마음의 소리’, ‘치유적 풍경’, ‘편집된 자연’, ‘삶을 바라보다’, ‘뒤란의 페이소스’ 등으로, 평범한 일상 속에서 접하는 정물적 풍경들에 주목한다. 그리고 자기 미의식만큼의 분량과 성질들을 관객들에게 편안하게 전달한다. 그렇다고 작가가 대상을 객관적으로 스캔하듯 재현하는 데만 열중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대상의 표피 뒤에 유동 상태로 있는 본질적인 울림, 즉 생명의 이야기들을 직관하려 한다. 또한 작가는 마치 ‘식물통역사’처럼 흔하고 진부한 것들에 귀를 기울여 생명의 소리를 예민하게 포착해 우리의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 결과 작가의 그림은 삽화처럼 편안하고 담백하면서도 어떤 리듬이나 패턴을 띤 추상적인 질서로까지 넘나들게 된다. 작가 작업의 관건은 역시 단조롭고도 평범함 속에 섬세하면서도 뉘앙스가 풍부한 화면으로 승화시켜내는 데 있다. 정확한 통,번역을 위해서는 대상의 성질에 대한 밀도 높은 직관도 요구되지만, 매개적 재료에 대해서도 예민할 필요가 있다. 한국화가로서 먹을 안료로 사역함에 있어서도 바탕(ground)이 되는 것의 재질과 마티엘 같은 조건들에 따른 변화를 대단히 섬세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석분 같은 재료들로 도포된 캔버스 표면에 물리적인 작용과 반작용, 즉 물성적 상호작용들의 측면들에 대해 내공을 쌓아 왔다. 작가의 화면 속 이미지들은 종이 위에 그려진 한국화와는 사뭇 다른 감각으로 구현된다. 형식으로 치자면 벽화에 더 가까운 작가의 그림. 우열의 문제는 아니고 번역의 문제라 할 수 있을 텐데, 촉촉하게 물기를 많이 머금어 생기가 살아 있다. 내면에서 내면으로 전달되는 경로에는 생기가 관건일 터, 이런 점에서 작가는 실험에서 적지 않은 소득을 거두었으며, 작가만의 그림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작가의 화면이 흰 바탕 그대로 있어도 완성도에서 손상이 없는 이유도 촉촉함에서 오는 생기 때문이다. 바로 이 화면들로 인해 우리의 가슴이 훈훈해진다. 김월수 시인이 작가의 작품을 절묘하게 노래한 시 몇 구절을 소개함으로써 마치고자 한다. “빛으로 열린 세상 / 흰 여백 속으로 흐르는 / 생명의 강”(김월수, ‘바람이 분다’ 중) |
|
삶에 대한 진솔한 기록, 그 소박함과 담백함에 대하여-김상철 | |
삶에 대한 진솔한 기록, 그 소박함과 담백함에 대하여
|
ARTIST Cri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