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Criticism
The exhibition of the imaginary scenery of ‘Thistle Flower’ by a Western-style painter, Lee Myung-hwa

서양화가 이명화의 ‘엉겅퀴 꽃’의 심상적 풍경 전

The exhibition of the imaginary scenery of ‘Thistle Flower’ by a Western-style painter, Lee Myung-hwa

 

글, 김재관 (쉐마미술관 관장, 미술학 박사)

Written by Kim Jae-kwan (Director of Schema Art Museum, Doctor of Fine Arts)

 

 

 

 “예술이란 눈에 보이는 것의 재현이 아니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 말은 파울 클레가 한 말이다. 클레는 스위스에서 태어났으나 독일에서 ‘청기사 운동’에도 참가하고 ‘바우하우스’ 교수로도 활동한 감성적이면서 매우 이성적인 작가이다. 클레는 사실적 묘사력이 아주 뛰어나기 때문에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자신들의 그룹에 동참할 것을 권유받았으나 거절하고 자유로운 드로잉을 실험하면서 엄격한 입방체의 탐구뿐만 아니라 점묘법까지 탐색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적 표현보다 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더욱 심혈을 기울였던 작가이다. 

 

“Art is not a representation of what is visible, but to make what is invisible to the eyes visible.” This is what Paul Klee said. Klee was an emotional and very rational artist who was born in Switzerland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Blue Rider’ in Germany and worked as a professor of ‘Bauhaus.’ He was so good at describing things realistically, so surrealist artists encouraged him to join their group, but he refused and explored not only strict cubism but also pointillism while experimenting with free drawing. Therefore, he was an artist who put more effort into expressing objects symbolically than realistically.

 

 

 이명화 작가의 작품은 여느 작가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대상의 사실적 묘사에서 시작하고 있다. 물론 대상의 이미지를 미적 표현으로 실현하고자 하지만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삶의 현상을 투영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재현하고자 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것은 클레가 눈에 보이는 대상을 그리지만 보이는 그대로를 그리고자 한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그리고자 한 것처럼 이명화 작가도 자신의 눈으로 만 볼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로 재현하고자 한 것만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으로 읽고 느낀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있지 않나 추측해 볼 수 있다.

 

Lee Myung-hwa’s work began with realistically expressing an object in painting as it stands, as most artists do. Of course, painters want to realize the image of an object in an aesthetic expression, but they also see that they are trying to reproduce a new image by projecting their thoughts and phenomena of life through the object they want to paint. This is as if Klee was drawing an object that was visible, but not what was seen, but what was invisible. Likewise, it can be assumed that Lee Myung-hwa is not only trying to reproduce a new image that can only be seen with her own eyes, but also reconstructing the image she read and felt with her own mind.

 

 

 이명화 작가는 중학생 시절부터 미술부 활동을 하고 대학 생활과 홍익대학교에서 미술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기까지 거의 40여 년 동안 쉴 새 없이 그림만 그린 화가이다. 이렇듯 학생 시절이나 중등학교 미술 교사 시절이나 작가 시절이나 한결같이 그림만 생각하고 작업에 몰입한 작가이다. 그동안 주로 자연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을 구상적 풍경과 정물을 주제로 작업하였는데 꽤 오래전에 수많은 잡초들 중에 하나인 ‘엉영겅퀴’와 만나게 된다. 엉겅퀴란, 모든 꽃들이 그러하듯이 흙에서 싹트고 자라나 꽃을 피우고 자신의 홀씨를 날려 보내어 다시 흙에 정착하여 한 해의 생명을 다하는 생태적 과정을 갖는 식물이다. 이러한 엉겅퀴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고 외형적 이미지의 표현에서 내면적 시각의 관점으로 다시 관찰하면서 표현 방법도 변화를 갖게 된다. 이처럼 엉겅퀴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자연의 순리를 이명화 작가 자신의 삶의 모습에 대입시켜 표현한 것이 <엉겅퀴 꽃> 시리즈 작품이 아닌가 싶다. 

 

Lee Myung-hwa is a painter who has been painting for almost 40 years without a break, from being engaged in an art club in middle school to completing her master’s degree in art at Hongik University. As such, she is an artist who constantly thinks about paintings and immerse herself in work, while she was a student, a middle school art teacher, or an artist. For a while, she had mainly worked on all objects that exist in nature under the theme of conceptual scenery and stillness, and she met one of the numerous weeds, Thistle, quite a long time ago. As all flowers do, thistle is a plant that sprouts and grows in the soil, blooms flowers, and flies its own seeds, settles back in the soil, and has an ecological process that fulfills the life of the year. While observ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tle and observing again from the perspective of her inner self in the expression of the external image, her expression method also changed. In this way,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the work of the Thistle Flower series that expresses the nature’s logic of the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thistle in the form of Lee Myung-hwa’s own life.

 

 그동안 표현기법과 형식은 ‘사실적 표현’, ‘드로잉적 표현’, ‘이미지의 해체적 표현’ 등으로 요약 설명될 수 있으나 전통적인 서양화의 사실주의와 신인상파 표현기법에 얽매이지 않고 이미지의 배경의 공간을 소중하게 처리함으로써 마치 동양 사상의 무위자연의 정신을 차용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사실주의 회화가 입체적으로 보이는 시각적 진실의 환영을 만들려고 시도했다면, 이명화의 작품은 환영적 이미지의 표현을 보다 ‘일루전’으로 해석하려고 함으로써 동양화의 관념적 산수화처럼 ‘여백의 미’를 중시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중시하는 자연의 ‘생명성’을 엿볼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her expression techniques and forms can be summarized as ‘realistic expressions,’ ‘drawing expressions,’ and ‘deconstructive expressions of images,’ but her paintings are not bound by traditional Western realism and neo-impressionists’ expression techniques, making us think that they are borrowing the spirit of non-doing of Eastern thought by carefully dealing with the space of the image background. If realist paintings attempt to create an illusion of visual truth that seems three-dimensional, Lee Myung-hwa’s work could find a feature that emphasizes the ‘beauty of void’ and gives a catching sight of nature’s ‘life’ that is valued in postmodernism, by trying to interpret the expression of dreamlike images as ‘illusion.’

 

 

 이와 같이 ‘이명화 작가’와 ‘엉겅퀴’는 작가와 대상이라는 대립적 대상이 아닌 엉겅퀴라는 자연 속에 존재하는 주제와 자아를 동양의 예술 정신과 합일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본질과 나아가서 본인의 삶에 대한 존재의 물음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자 함을 느낄 수 있다.

 

In this way, ‘Lee Myung-hwa’ and ‘Thistle’ are not conflicting objects of an artist and an object, but by uniting the theme and ego existing in nature with the Eastern art spirit, we can feel that they want to talk about the nature of human life and also the question of their existence. 

 

 세계적인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인간은 태어나서 삶과 죽음 사이의 선택의 연속이다.”라고 하였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존재한다. 결국 인간은 자연 속에서의 생명의 탄생과 소멸 속에 순응하면서 살아가게 된다. 또한 작가는 작품 속에 자신의 생각을 용해시키고 작품의 기법과 형식으로 그 해답을 풀어가게 함으로써 하나의 작품을 탄생하게 한다. 이명화 작품은 주제의 형식적 관점에서 언급하자면 몇 가지 특징적 형식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A world-renowned existentialist philosopher, Jean-Paul Sartre said, “Life is choice between birth and death.” Humans exist as part of nature. Eventually, humans live by adapting to the birth and extinction of life in nature. In addition, artists dissolve their thoughts in the work and solve the answer in the technique and form of the work, thereby creating an artwork. From a formality viewpoint on the subject, it seems that Lee Myung-hwa’s work can be interpreted in several characteristic forms.

 

 첫째, 엉겅퀴 꽃의 생명의 탄생과 소멸이라는 연속성과 시간성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심미적 대상을 만들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것은 결국 ‘엉겅퀴’라는 ‘실재(Reality)’를 인식하면서 동시에 그 자신을 ‘해체(De-construction)’ 시키는 특징을 말한다.

 

First,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creating an aesthetic object that can simultaneously recognize the continuity and temporality of the birth and extinction of life of thistle flowers. In the end, it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the ‘reality’ of ‘thistle’ which is, at the same time, the ‘deconstruction’ of itself.

 

둘째, 물체(이미지)와 공간(여백)이 별개로 존재하지 않고 동시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마치 동양화에서 그려지지 않는 여백의 공간이 작품의 미완성 부분이 아니라 완전한 작품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동시에 존재하게 한다.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 (image) and the space (void) do not exist separately but exist at the same time. As if a space of void that is not painted in Eastern paintings exists as a part of a complete work, not an incomplete part of the work, both exist at the same time.

 

 이처럼 이명화 작가는 엉겅퀴를 통하여 ‘자연의 신비로움’을, ‘부드러운 여백‘을 작가 자신의 내적인 표현의 공간으로 연출하고 있지 않나 싶다. 이번 쉐마미술관 기획전을 계기로 이러한 작품의 제작 방법이 더욱 독자적 양식으로 외부의 환경을 반영하고 이명화 작가만의 주관적 생명과 감정으로 새로운 주제들을 발굴하여 시도함으로써 또 다른 도약이 있게 되길 기대해 본다.

 

As such, it seems that Lee Myung-hwa is directing the ‘mystery of nature’ through thistle and the ‘soft void’ as a space for her own inner expression. With this exhibition of Schema Art Museum, we hope that there will be another leap forward by reflec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 more unique style and attempting to discover new topics with Lee Myung-hwa’s own subjective life and e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