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NOTE
2023-02-01 작가노트

작가노트

 

2020

작가노트  |  Artist’s note

아이였을 때 저 멀리 있는 산을 보며 그 넘어의 세계에 대해 생각하며 가슴이 

두근대던 시절이 있었고, 산과 들로 뛰어다니며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는 전통적

한국적인 모습과 색감이 어느새 나에게 각인이 되어 작품을 표현하는 데에 근본

이 되고, 주재료가 되어 버렸다. 

서양식 교육을 받고, 나날이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산 너머를 보며 더 이상 두

근거리지는 않지만, 잊지 않고 하나씩 꺼내볼 수 있는 전통적인 이미지들과, 감

정들은 창작의 기점이 되어 새로운 공간의 조형세계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그 속에서 가장 잘 표현하고 싶었던 부분은 ‘가치’라는 대상이 인간과의 관계에

의하여 지니게 되는 중요성이었다. 아주 일반적이고, 별로 특별하지도 않아서 거

의 인식하지도 못하던 부분에 ‘가치’를 이입시켜 하나의 공간으로 재탄생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며, 일상 주변의 환경은 시대적인 상황에 의해 변화하고, 

유행이라는 단어 속에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가치를 찾아주고 싶다는 생각에

서 본인의 창작작품이 시작되어 졌다. 

그 가치의 표현 방법으로는 과거 속에서 발견할 수 있거나, 습관적으로 행해왔

던 익숙한 행동들이 젖어들어 무한한 공간의 가치를 보여줬던,  한국의 전통적

인 문창살 문양이나 전통적 오브제 등을 차용하여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전시주제 및 기획의도 |  Concept 

한국고유의 전통성과 현대미술의 만남을 보여주며, 삶에 대한 깊은 사유와 

인간의 다양한 감정들을 창작의 기점으로 삼고 있는 새로운 공간의 조형세계를

보여주고자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다.

생활 속에 녹아있는 습관이나 관습 속에서 느껴지는 평범함이 어느 날 가장

가치 있는 모습으로 각인되어있음을 표현하여 보여주고자 하며, 작품을 매개체

로 서로 교감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가슴속에 의미 있는 시간들이  소통의 도구로 

공간이 재탄생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같은 모습이지만 서로 다른 가치가 담긴 다양한 마음의 표현을 가지고 있다는 

조형적 이론을 보여주며, 이러한 작품들은 설치 위주로 공간이 구성되어 졌다. 

과거로부터 형성되는 경험에 의한 감정이 미래를 향한 희망으로 보여 지기를 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담고자 한다. 같은 밥그릇에 밥을 먹어도 먹는 사람들이 

서로 다르고, 담기는 가치가 다르다는 생각에서 ‘스탠 밥그릇’을 사람으로 상징

화 하여 오브제로 사용하였다. 

밥공기라는 오브제 안에 담긴 가치를 표현하기 위하여 한국의 전통 문창살의 문

양을 차용하였으며, 무한대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문양들을 선정하여

밥그릇에 뚜껑을 닫고 그 위에 문양을 새기는 행위로 가치를 표현하였다. 

한국의 전통 문창살의 문양은 그 방안에 살고 있는 사람의 가치를 대변하는 것

으로 밥을 담아 식지 않도록 뚜껑을 닫아 보관하던 어머니의 모습에서 착안하

여, 가치로 이루어진 밥그릇에 뚜껑을 닫고, 그 위에 가치를 새겨 넣듯이 한국의

문창살의 문양을 새겨 넣는 작업을 하였다. 

 

Part 1. 공간- 가치를 담다

한국의 전통적인 문창살 문양은 저마다 다 다른 이유가 담겨있다. 방안의 공간

에 살고 있는 존재를 위하여 염원(소원)을 담아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공간의 

가치를 보여주는 상징이다.

밥공기에 밥을 담아 식지 않도록 뚜껑을 닫아 보온한다. 이처럼 밥공기라는 공

간 속에 가치를 담아 뚜껑을 닫고 저마다 다른 염원이 담긴 문창살 문양을 새겨

넣은 작품이며, 똑같은 밥그릇이지만 먹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담기는 가치를

표현하였다.

작품 속에 보이는 바탕을 이루는 색상들은 물건 등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각보자기의 색감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Part 2. 공간-INFINITY

Wish를 담은 공간 설치

생일날이면 어머니가 그릇에 밥을 풀 때 그 자식이 다 먹지도 못 할 텐데 항상

둥그렇게 산을 쌓아서 ‘고봉’의 밥을 담아주신다. 다이어트할거라고 타박하면,

“앞으로도 밥 굶지 말고 건강하게 지내라” 라고 소원을 담아주신다.

똑같은 밥그릇에 밥이 담겨도 각각 인생의 가치는 다르다. 그 하나하나를 다 표

현할 수는 없지만 느낌으로 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그 사람마다의

생각과 소망이 담긴 전통적인 문창살의 기하학적인 문양이 무한하게 표현되어

고봉의 밥을 이룬다. 

 

Part 3. 공간- 가치를 담다

벽면에 설치되는 작품으로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스텐 밥공기와 사람의

영혼을 상징하는 나비영상을 조합한 작품이다. 

흰색바탕의 뚜껑이 없이 열려진 공간을 보여주는 스텐 밥공기 속, 스텐의 반짝이는 

안쪽 공간이 빛의 반사로 위치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게 표현하였으며, 푸른색과

노란색, 붉은색, 색동의 나비가 스탠 그릇의 공간을 날아다니는 형상이다. 

스텐 그릇은 인간이 서로 공유하며 삶을 살아가면서 경험에 의한 가치를 담는

공간이며, 나비는 인간의 영혼으로 상징화 되어, 인간 속에서의 서로 소통하는

모습을 영상화 하였다. 

 

Part 4. 공간-빛을 담다

종갓집의 장녀로 오래된 한옥에서 살았던 기억 중에 햇빛이 방안에 비춰질 때 

문창살의 그림자와 그사이의 창호지에서 나오던 빛을 따라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려보곤 했다.  

그 이후 성인이 되었어도 본인의 기억 속에 떠오르는 형상을 현대의 조형성에

맞추어 표현하고자 하였다. 

단순화를 극대화 하여 미니멀리즘 적인 요소를 빛과 조화시켜 조형화한 작품이

다.

 

Part 5. 공간의 가치와 염원

비단천은 1960년대 만들어진 천으로 여성이 시집올 때 혼수품을 가져온 것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 때문에 옷으로 만들어지지 못한 체 궤 속에 머물러 있던

천들을 모아서 작업하였다.

결혼이라는 인생의 새로운 시발점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과 행복을 위해 가져 왔

을 비싼 비단 천들은 그때 가졌던 감정의 가치를 담은 채로 발전하는 시대 속에

서 뒤로 물러나 감춰져 있었다. 그 긴 시간 동안 축적된 한 사람의 인생이 담긴

그 염원을 꺼내어 공간에 그 가치를 담아보고자 하였다.

 

2011

어떤가치전I 2011

보편적 공간에 감정을 이입하고 문을 만들어 줌으로써, 공간의 존재함과 그에 대한 특수한 가치를 부여한다. 공간은 그 안의 존재하고 있는 것들의 가치에 의해서만 그 의미가 부여되며, 그 의미에 따라 문의 가치가 틀려진다. 가치부여는 개인의 역사(즉 생각, 경험, 기억 등)에 따라 틀려진다. 다른 이에게 아무 가치가 없으나 자신만이 특별한 가치를 가지며,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담고, 싸고, 공간(가치가 담긴) 을 모으는 것에 의미를 둔다.

 

2005

잠식되어 자라다 2005

인간이 나무와 공통점은 한곳에 뿌리를 내리고 보이지 않게 조금씩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성장한다는 것이다.ž인간은 사회라는 뿌리 속에서 자라며, 과거의 경험 기억 감정 등의 양분을 먹으며 자란다. 그 양분들은 자연스럽게 흡수되어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몸 밖으로 표출되어진다. 다양한 색으로 표현되면서, 얽매이기도 하고, 자신의 전부가 될 수도 있으며, 없어지고 하며, 함께 공존하고 성장하게 된다. 나의 감정들, 생각들, 과거의 기억들이 서로 어우러져 여러 종류의 실과 색으로 나뭇가지 같은 나의 자신에 감고 붙여 밖으로 표출하는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2004

장식된 감정-2004

색으로 이미지화된 감정의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 공간을 장식하는 형상의 작품으로써, 과거 속의 기억이나 감정들로 장식된 공간이다.

아무 꾸밈도 없는 무채색의 공간속에우리는 시간과 경험 속에서 얻은 감정으로 장식을 하게 되며, 그 감정이 또렷이 무엇인지는 기억나지는 않아도 은은히 빛나는 기억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의도하였다.

 

소유한 공간- 2004

인간의 성장 속에서 오랜 시간속의경험은 자아형성에 필요한 주된 요인일 것이다. 많은 경험들을 통해 만들어진 감정들과 느낌은 시간이 지나면서 퇴색되어지고 바래지면서,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것들은 인간의 가슴속에 남아 소유되어지며, 하나의 잊혀진 감정의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 이미지화된 공간을 이용하여 주변의 물건에 대치시켜 감정으로 공간을 채우고 보여지는 색으로, 담겨진 용기를 넘어 그 밖으로 베어 나오는 형상을 표현하였다.

 

 

2001

공간 장식하기-2001

인간은 타인과 타협하며 조화시켜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자신만이 표현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 특별한 공간은 자아 속에 인식된 개인의 감정, 정신적 이미지, 그리고 경험의 심리적 반응에 의한 것으로 개인에게 인식된 사적인 공간이다. 그 공간은 개인의 마음속에서만 존재할 수도 있고, 혹은 현실에 끌어 들여져 자신의 생활권 안에서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작업과정에서는 한국전통양식의 색상과 오브제들을 이용한 작업과정에서는 한국전통양식의 색상과 오브제들을 이용한, 단청을 수놓거나, 색을 칠하여 화려하면서도 장식적인 면을 보여주었으며, 주변에서 볼수있는 노리개, 되, 키, 실타래, 문고리, 족두리 등의 전통적인 오브제들을 이용하여, 그 오브제들의 본래의 기능성 보다는 현재의 상황과 조화를 이루며 개인의 내적(자아)의 공간을 보여주려 하였다. 우리의 과거 속에서 자주 쓰였지만 그 실용성이 점점 잊혀져가는물건들을 선택하여 현대조형에 접목시켜 보여줌으로써, 공산의 은밀하면서도, 개인사적인 성격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2000

공간인식하기-2000

자아의 공간 존재에 대한 인식은 늘 가까이 접하는 공간속에서 존재됨을 느낀다.ž자주 보던 것들, 아끼던 것들 등 현식 속에서의 경험으로 인한 개인적인 내면공간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느낀다.ž그 공간들은 인식되기를 기다리며 함께 공존하는 것이다.